
문제 1000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풀이 정수 a, b를 받고 a + b를 출력하면 됩니다. Scanner라는 편한 클래스가 있지만 나중을 위해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Scanner는 선언하는 것만으로도 무겁고 입출력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문제를 풀다 보면 로직 자체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시간 초과가 나오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어떤 문제는 단지 Scanner를 선언하는 것만으로도 시간 초과가 납니다. Scanner 때문에 시간 초과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으면 그때그때 제대로 대처할 수도 있겠지만 보통은 종종..
20.04버전만 이런 건지 모르겠으나 기본적으로 깔려야 될 것 같은 프로그램들이 안 깔려있다. 특히 gcc는 왜 안 깔려있는지 의문 과제를 진행하다가 여러 명령어가 막혀서 정리한다. sudo apt-get update : repository에 새로 추가된 패키지 등, 변경된 패키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sudo apt-get build-essential : 소스코드 빌드 시 필요한 기본적인 패키지를 설치한다. gcc, g++, make, perl 등의 각종 라이브러리들이 설치된다. apt show build-essential를 이용해 정보들을 볼 수 있다. sudo apt-get install gcc-multilib : 32-bit 헤더와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로드 받는 명령어이다. CSAPP 과제를 진행..
WSL(Windows Substyem for Linux)를 이용해서 ubuntu를 설치하면 scp 명령이 왠지 모르게 제대로 먹질 않는다. 초보 입장에서 안 되는 이유를 찾기보단 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더 빠르다. 일단 리눅스를 설치해야 되는데, 가상 머신을 사용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VMware롤 linux를 실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했던 기억이 있어 바로 VMware를 설치했다. VMware를 설치하고 Linux Server를 설치할 때 Network 설정을 Bridge로 하고 Physical 복사인가 그거까지 체크하고 설치했다. 이렇게 설정하면 파일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이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 것도 있고 이렇게 해야 네트워크 통신이 편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 뒤에 hostname -I 명..

자바 특징 - 플랫폼 독립적 : 운영체제에 따라 코드를 재작성하지 않아도 됨. - 객체 지향적 : 절차 지향적 언어에 비해 생산성이 높음. 보안성 높음. 자바 프로그램 작성/실행 과정 - 자바 소스 코드 작성 -> 자바 컴파일러가 바이트 코드 생성 -> 바이트 코드를 각 운영체제에 맞는 JVM이 실행 자바 활용도 -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웹/앱 서버 등 자바 플랫폼 - Java SE (Standard Edition) : 기본 개발 환경 - Java EE (Enterprise Edition) : 서버 기반 프로그램 개발 환경 - Java ME (Micro Edition) : 모바일,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환경 변수(Variable) -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

* 새로운 CSS Spec을 배울 땐 해당 Spec 앞단에 깔린 모든 Spec을 한 번에 배운다는 마음가짐으로 들어가야 된다. level 4 이상의 module들은 모두 이러한 접근법을 이용해야 한다. * 이론들이 나오면 논리에 맞게, 이치에 맞게, 순서에 맞게,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트레이닝 해야 한다. CSS의 display는 표시한다는 의미의 display가 아니라 layout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CSS에서 기본적으로 geometry를 구성할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결정한다. 현재 geometry를 계산하는 공식을 넣어주는 방법은 display와 position밖에 없다. [ Display Group ] 1. display에서 많은 layout을 결정하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sp..
[ Semantic Web ] semantic web에서 어떻게 CSS를 어떻게 쿼리처럼 쓰는가에 대한 문제 Semantic Web : 의미론적 웹. HTML 태그를 화면에 보이는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의 문서로서 의미를 갖도록 tagging하자는 개념, 철학. HTML은 의미론적으로 작성하고 화면에 보이는 모양만 CSS로 조정하는 전략을 사용함. 검색 엔진이 HTML 문서를 읽어들였을 때 마치 데이터베이스처럼 문서로부터 유의미한 것들을 추출해서 다양한 검색 결과를 만들어내게끔 머신에 친화적인 문서를 만들자. 하나의 문서를 데이터베이스처럼 잘 조직화해서 필요한 속성들을 잘 넣어가지고 필요한 태그를 잘 만들어가자. 이걸 지키기 위해선 줄을 나누기 위해 div나 p 태그를 함부로 쓰는 것을 허..

[ Post Process ] 복습 1. graphics pipeline에 대해 2가지 배웠다. Geometry Calcuation, Fragment fill이다. 2. reflow 비용은 크다. geometry가 변했으므로 모두 repaint 해야 하기 때문이다. Post Process는 graphics pipeline에 추가된 것으로 geometry 계산과 fragment가 끝났을 때 바로 그리지 않고 한 번 더 가공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계산해서 바로 그래픽 비트맵에 쓰는 것이 아니라 이걸 메모리에 떠놓고서 메모리 안에서 조작한 이후에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것. 이러려면 버퍼가 있어야 한다. 예전에는 그림을 그리면 CPU pipeline을 타고 바로 그려졌다. 지금은 그림을 GPU가 그린..
- Total
- Today
- Yesterday
- boj 12713
- boj 14868
-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 boj 9345
- boj 2336
- 백준 10775
- 백준 12713
- boj 10775
-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 백준 10473
- 백준 1280
- 사탕상자
- 백준 9345
- boj 10473
- 백준 1106
- 백준 2336
- 백준 14868
- 인간 대포
- boj 2243
- Ugly Numbers
- 제로베이스 스쿨
- boj 16562
- 백준 2243
- 백준 3006
- 부트 캠프
- boj 1106
- 터보소트
- boj 1280
- 백준 16562
- boj 3006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