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네이밍 룰 레퍼런스 - jang8584.tistory.com/34 - codevang.tistory.com/76 - devbada.tistory.com/102 * 프로젝트 깃허브에 올리는 법 - coding-factory.tistory.com/248 [ 패키지 구성 ] config : 프로젝트와 관련된 설정 클래스들의 보관 패키지 controller : 스프링 MVC의 Controller들의 보관 패키지 service : 스프링의 service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 패키지 domain : VO, DTO 클래스들의 패키지 persistence : MyBatis Mapper 인터페이스 패키지 aop : 스프링의 AOP 관련 패키지 security : 스프링 Security 관련 패키지 uti..
* 모델링 링크 : www.erdcloud.com/d/ND6mfFGPXmRnkwso3 * 더 나은 구조를 짜려고 생각하는 건 좋은데, 작업이 계속 지체됨. 여기까지 일단 구현해보고 좀 더 확장할 것 [ 테이블 유형 ] 1.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 : 조직에서 중요한 주제를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기본 토대 2. 연결 테이블(Linking Table) : 다대다 관계의 두 테이블의 연결을 설정함 3. 부분 집합 테이블(Subset Table) : 특정 데이터 테이블과 연관되어 있으며 데이터 테이블의 주제를 매우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필드들을 포함한다. 4. 검증 테이블(Validation Table) : 비교적 정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며 데이터 무결성의 중요한 구성요소 [ 테이블..
[ 아이디어 정리 ] - 게시판 1. 게시판이라는 상위 엔티티에 id, 분류 코드를 넣고 분류 코드에 따라 공지 게시판, Q&A 게시판, 일반 게시판 등으로 나누는 것. 처음에 했떤 생각으로 게시판을 객체, 상속 개념처럼 생각했던 아이디어. 테이블이 다르니 보안에 있어서 더 좋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2. 게시판을 카테고리로 보고 게시글에 카테고리 컬럼 추가. 모든 게시글을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하고 카테고리 별로 유저에게 보여주면 유저는 서로 다른 게시판으로 인식하니 괜찮다고 생각한 아이디어. 3. 게시글과 내용의 분리. 게시글에 그림을 포함해서 쓰는 기능과 파일 첨부 기능을 넣을 건데, 이 모든 걸 다 넣으면 내용이 너무 커져서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 중. 데이터 모델링 책에서 이런 내용을 본 것 같..
[ 설정 ] org.springframework.security spring-security-web 5.0.6.RELEASE org.springframework.security spring-security-config 5.0.6.RELEASE org.springframework.security spring-security-core 5.0.6.RELEASE org.springframework.security spring-security-taglibs 5.0.6.RELEASE - 위 3개의 파일은 동일한 보전으로 맞춰야함. - 맽 아래 라이브러리는 JSP에서 스프링 시큐리티 관련된 태그 라이브러리를 활용하기 위해 추가 - Spring Security는 단독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security-..
[ 브라우저에서 첨부파일 처리 ] 1. Form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 - 브라우저의 제한이 없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 - 일반적으로 페이지 이동과 동시에 첨부파일을 업로드하는 방식 - 을 이용해서 화면의 이동 없이 첨부파일을 처리하는 방식 2. Ajax를 이용하는 방식 - 첨부파일을 별도로 처리하는 방식 - 을 이용하고 Ajax로 처리하는 방식 - HTML5의 Drag And Drop 기능이나 jQuery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처리하는 방식 [ 서버에서 첨부파일 처리 ] - 서버 상 처리는 대부분 비슷하다. 응답을 HTML 코드로 하는지 JSON 등으로 처리하는지 정도의 구분만 하면 됨. - 첨부파일의 처리를 위해서 어떤 종류의 라이브러리나 API 등을 활용할 것인지에 주의해야함. ex) cos.jar :..
- GetMapping, PostMapping import 안 될 때 1. 스프링 버전 확인. 스프링 5부터 지원함. - junit 쓸 때 ~~~~ file not found가 보이면 1. java build path - libraries에 ojdbc8.jar 파일이 추가돼 있는지 확인. 2. Deployment assembly에 ojdbc8.jar 파일이 추가돼 있는지 확인. - junit import 되지 않을 때 1. junit build path에 추가 (RunWith() 입력하고 fix 밑에 build path 추가가 나오면 그걸로 추가하면 됨) - junit 테스트 때 database 연결이 안 될 때 1. java build path - libraries에 ojdbc8.jar 파일이 추가돼 ..
- 오픈 소스에 참여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 https://tech.kakao.com/2021/06/16/frontend-growth-10/ FE개발자의 성장 스토리 10 : 주니어 FE 개발자 오픈소스 성장기 안녕하세요! FE플랫폼팀에서 사내 NPM, 스타일 가이드, 그리고 최근에는 웹 성능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joah입니다. 최근 카카오 사내 기술 세미나 ‘Techtalk’에서 발표했던 오픈소스 활 tech.kakao.com https://www.popit.kr/%EC%98%A4%ED%94%88%EC%86%8C%EC%8A%A4-%EC%BD%94%EB%93%9C-%EB%B6%84%EC%84%9D-%EC%96%B4%EB%96%BB%EA%B2%8C-%ED%95%98%EB%82%98/ 오픈소스: ..
- Total
- Today
- Yesterday
- boj 10775
- 백준 1106
- 백준 3006
-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 boj 2243
- 백준 10775
- boj 2336
-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 boj 14868
- boj 12713
- boj 3006
- boj 1106
- 백준 2336
- 백준 14868
- boj 9345
- boj 16562
- boj 10473
- 백준 12713
- Ugly Numbers
- 백준 2243
- 제로베이스 스쿨
- 인간 대포
- 백준 1280
- boj 1280
- 사탕상자
- 터보소트
- 백준 10473
- 백준 9345
- 백준 16562
- 부트 캠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